'ㅇㅇ'로 만든 '고층 빌딩·옷'…1석 2조 효과 누린다
- 날짜 24-10-16 12:07
- 조회수 148회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본문
(스톡홀름=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나무 사용이 주목받고 있다. 가구, 연료, 목조 주택 등으로 단조로운 쓰임새에서 20층 넘는 고층 빌딩부터 의류까지 온실가스를 저장할뿐만 아니라 탄소 다배출 제재 사용을 줄이는 데도 활용되고 있다.
"화학 섬유와 면화의 중간 정도 부드러움과 강도 등 물성을 가지고 있는데, 탄소 배출을 (기존 방법 대비) 70~9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폐기 시 분해도 쉬운 게 특징입니다."
나무에서 섬유를 뽑는 '트리 투 텍스타일'(Tree to Textile) 록사나 바르비에루 대표(화학박사)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본사에서 제품을 선보이며 목재 섬유 특징을 설명했다.
바르비에루 대표가 건넨 옷은 스웨덴 남부 님뮐라(Nymolla)에서 생산한 스웨터다. 같은 디자인으로 짠 면 스웨터보다 찰랑거리고, 화학섬유보다는 단단했다.
트리 투 텍스타일은 목재 펄프를 원료로 실(섬유)을 뽑아낸다. 가구나 생활용품을 만들고 남은 부자재를 펄프로 만든 뒤 알칼리성 용액과 섞어 셀룰로스 용액으로 액화시킨 다음 원사를 뽑아내는 방식이다.
목재 기반 섬유 스타트업 '트리 투 텍스타일'이 지난달 26일 스웨덴 스톡홀름 본사에서 자사에서 뽑은 섬유(실)로 만든 의류를 소개하고 있다. 트리 투 텍스타일 측은 협력 추진 패션기업의 보안상 이유로 근접 사진 촬영은 제한했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향후 지분 투자한 H&M, 라이프스타일 회사 이케아(IKEA)의 모기업 '인터 이케아(IKEA) 그룹'과 협업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목조 건물은 인류에게 가장 오랜 기간 활용된 건축 방법의 하나지만 현대엔 철근·콘크리트에 밀리면서 별장이나 단층 건물 등에만 이용됐다. 그러나 탄소중립 문제가 본격 떠오르면서 고층 건물 등을 목재로 짓는 방안에 대한 연구·사업이 활발해졌다.
철근·콘크리트가 탄소를 다량 배출하고, 전혀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 이산화탄소의 40%가 콘크리트 건물에서 발생·배출되고 있다.
목재 건물은 다르다. 국제산림연구센터(CIFOR)는 목조 건물이 콘크리트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연구·발표했다.
이 때문에 일찌감치 순환 경제·탄소중립에 뛰어든 북유럽은 고층 목조 건물을 지어왔다. 스웨덴 셸레프테오에는 호텔 등으로 이용되는 20층 규모 목조 건물 '사라 쿨투르후스'가, 노르웨이에는 18층짜리 '미에스타넷 타워'가 실제 사용 중이다.
네덜란드와 오스트리아에는 각각 21층, 24층의 복합시설로 활용되는 고층 목재 건물 '하우트'와 '호호 빈'이 있다.
목재 건물은 친환경적 특성뿐만 아니라 안전성 면에서도 강점이 있다. 목재는 화재 시 철근보다 강도가 오래 유지되며, 표면에 탄화층이 형성돼 내부로 불이 침투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김광모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공학연구과장은 "목재의 경우 표면만 타기 때문에 화재 30분이 지나도 강도의 75% 정도가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철근 구조가 화재 10분 내 강도가 50%가량 줄어든 것과 대비된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목조 건축물을 늘려야 한다는 국제적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다국적 부동산인프라 개발기업 '랜드리스'의 리사 포데스토 부사장은 최근 세계경제포럼에서 "대규모 목조 건축은 모듈형 설계로 더 빠르고 효율적인 건설이 가능하며,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비교적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2020년 보고서를 통해 탄소 저장 기능을 가진 목재 사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4년 KPF 디플로마 기후변화대응 프로그램 지원을 받아 보도됐습니다.